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77

access token 이랑 refresh_token 이 url 에 표시가 된다..! 분명 전에는 storage 에 저장이 잘 됐었는데.. 내가 뭘 건드렸는지 url에 뜬다 음.. https://supabase.com/docs/reference/javascript/auth-signinwithoauth Sign in a user through OAuth | Supabase Log in an existing user via a third-party provider. This method supports the PKCE flow. supabase.com 여기를 참고해야하는 건 알겠는데.. Supabase client를 생성 후 바로 onAuthStateChange 콜백을 등록해야한다고 하는데. 이렇게 문제가 안 풀릴수록 더 기본적이고 개념적인 부분을 점검해야한다고 생각한다. 그런 의미에서, 콜.. 2024. 1. 25.
SupaBase 에서 Google OAuth 사용하기 저기 "구글로 로그인하기" 버튼을 누르면 google 계정으로 로그인이 되어야 한다. OAuth 동의 화면과 계정 선택까지 했는데 계속 아무런 토큰 저장없이 메인페이지로 리다이렉트된다. 왜 그럴까 하고 다시 자세히 보는데, 저기 주석에 이유가 그냥 적혀있다. 저 함수에 대해서 다시 한번 공식문서에서 읽어보자 https://supabase.com/docs/reference/javascript/auth-onauthstatechange 다시 읽는 김에, 처음부터 과정을 기록해두기로 했다. supabase 에서 Google OAuth Login ( Sign In ) 시작! Login with Google 아, 혹시 글보다 영상을 선호하시는 분들은 밑에 영상을 보셔도 될 것 같습니다. https://supabas.. 2024. 1. 23.
[ CS ] 1월 30일 6주차 문제 1. 트랜잭션이란?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하나의 논리적 기능을 구성하는 일련의 연산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데이터 베이스에서 하나의 논리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의 단위) 2. 트랜잭션의 특징은? Atomicity 원자성 트랜잭션 내의 모든 명령은 반드시 완벽히 수행되어야 한다.(부분적으로 실행되거나 중단되지 않는것을 보장) 어느 하나라도 오류가 발생하면 트랜잭션 전부가 취소된다. 모두 실패해서 Rollback 되거나, 모두 성공해서 Commit 이 된다.(all or nothing) 트랜잭션 전파 Consistency 일관성 : 허용된 방식으로만 데이터를 변경해야 하는 것 트랜잭션의 작업 처리 결과는 항상 일관성을 유지해야 한다. 데이터베이스에서 정한 무결성 제약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 2024. 1. 23.
[ CS ] TCP, UDP 발표 자료 피피티 https://www.canva.com/design/DAF6h9AaRI0/cGMBM6MYsui21GUH-uwJQw/view?utm_content=DAF6h9AaRI0&utm_campaign=designshare&utm_medium=link&utm_source=viewer 스크립트 https://docs.google.com/document/d/1tg-rawXLj4s7g3ZVcDtrLZR7t8Tt2zdYHcChBRy3dJw/edit?usp=sharing 2024. 1. 23.
[ React ] hover 구현하기 useEffect(() => { formCoverRef?.current?.addEventListener('mouseEnter', () => { setIsHovered(true); }); formCoverRef?.current?.addEventListener('mouseLeave', () => {}); setIsHovered(false); }, []); 위의 함수는 해당 화면에 마우스를 올리면 로그인하기 버튼이 나오게 하기 위해 만든 함수였다. (버튼 디자인이 저건 아니다.) 근데 동작을 하지 않아서 구글링을 해봤다. 처음에 찾은 문제점은 dependency였다. 위의 로직대로라면 컴포넌트가 마운트되고 나서 한번 실행되는데, 그때는 아직 formCoverRef를 컴포넌트에 주기 전이니 당연히 undefin.. 2024. 1. 22.
[DB] 이상현상 Anomaly 란? 이상현상이란?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의 일관성, 무결성, 또는 정확성과 관련된 문제 또는 오류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이상 현상은 갱신 이상, 삽입 이상, 삭제 이상으로 구성됩니다. 아래의 사진이 이상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테이블입니다. 아래의 테이블은 학번이 기본키입니다. 1. 삽입 이상 Insertion Anomaly 특정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아 중요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삽입할 수 없는 현상을 말합니다. 위의 테이블의 상황에서, 현재 수학과가 새로 생긴다고 가정해봅시다. 밑의 데이터가 새로 추가하고싶은 데이터입니다. 104 수학과 4000 피타고라스 하지만 수학과에는 학생이 존재하지 않아서 대학교 테이블에 추가할 수가 없습니다. 이러한 현상을 삽입 이상이라고 합니다. 2. 갱신 이상 Modific.. 2024. 1. 21.